본문 바로가기
부부관계회복을 위한 대화

부모가 자녀에게 요구하는 행동 2

by 미미니니짱 2023. 5. 31.
728x90
반응형
SMALL

* '하지 마라' 하는 요구

  (1) 네 마음대로 하면 안 된다

  (2) 내 말에 토를 달지 마라

  (3) 네 생각만 하지 마라

  (4) 거역하지 마라 

  (5) 무책임하게 행동하지 마라

  (6) 바보짓 하지 마라

  (7) 남들보다 뒤쳐지면 안 된다

  (8) 다른 사람들 앞에서 날 창피하게 하지 마라

  (9) 거짓말하지 마라

  (10) 내게서 벗어나려 하지 마라

  (11) 지저분하게 다니지 마라

  (12) 떠들지 마라

  (13) 꼬치꼬치 캐묻지 마라

  

 

* 지나친 헌신형 관계

  ' 널 돌봐주고, 씻겨주고, 밥을 해주고, 방청소를 해주고, 예쁜 옷을 골라주고, 빨래하고 다림질을 해주고, 장을 보고 어디든 너와 함께 다닐 수 있게 해주면 널 사랑해줄게, 너도 날 사랑하게 될 거야.'

  지나친 헌신은 상대방을 지배하려는 욕망의 또 다른 얼굴이다. 상대방에게 인정받고 사랑받고 자신의 가치와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 그런 행위를 하는 것이다. 

 

 *지나치게 헌신하는 부모의 방어행동

   (1) 주의를 끌고자 하는 행동

   (2) 매달리고 애걸복걸하는 행동

   (3) 끊임없이 상대방의 의도를 확인하는 행동

   (4) 남의 비위를 맞추는 행동

   (5) 전혀 자기주장이 없음

   (6) 수동적인 태도

   (7) 소심함과 태도

   (8) 자기 자신을 돌보지 않는 태도

   (9) 무리한 노동

   (10) 소유욕과 집착

   (11) 늘 남의 눈치를 보며 불안해 함

   (12) 착한 사람이 되지 못할까 두려워 함

   (13) 남의 비난에 과민반응을 보임

   (14)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들이지 못함

 

  전통적인 문화와 종교들은 대개 부모, 특히 어머니의 헌신을 강조한다. 가족을 위해 자신의 삶을 희생하라고 한다.

어머니의 헌신적인 사랑은 고귀한 이타적인 사랑의 표본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그것은 허황된 신화일 뿐이다.

  헌신적인 사랑은 이타적인 것이 아니라 극도로 이기적인 것이다. 헌신하는 관계는 그냥 베푸는 것이 아니라 

 '돌려받기 위해' 베푸는 것이다. 지나치게 헌신하는 사람은 자신의 고유한 자아를 발현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다른 가족들이 성숙한 인간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뿌리째 뽑는다.

 

  지나치게 헌신하는 부모 밑에서 자라는 아이들은 사춘기가 되면서 공격적으로 반항을 한다. 끊임없이 요구하며 변덕스럽고 화를 잘 내며, 모든 것을 자기 뜻대로 하려고 함으로써 부모를 지배하려고 한다. 남은 짓밟으려고 하고, 화합하지 못하고

자꾸 싸움을 일으키며, 과장된 허풍을 떨고 주체적으로 보이기 위해 '오버액션'을 취한다. 그러한 행동은 모두 자신에 대한

매우 나약한 믿음을 채우고자 하는 몸부림이다.

 

 

 

 

 

 

728x90
반응형
LIST